손에 익는 Next.js
Part 1 - 공식 문서 훑어보기
Part 1 - 공식 문서 훑어보기
  • 왜 Next.js를 배우는가?
    • 1️Next.js가 세상에 있기까지
    • 2️Next.js를 배우는 이유
  • Next.js 기본 배우기
    • 1️Next.js는 무엇인가?
    • 2️Next.js 13
    • 3️서버 컴포넌트
    • 4️라우팅
    • 5️페이지 간 이동
    • 6️스타일링
    • 7️데이터 페칭
    • 8️메타데이터
  • Next.js 손에 익히기
    • 1️프로젝트 소개
    • 2️프로젝트 환경 설정
    • 3️페이지 구성하기
    • 4️페이지 간 이동하기
    • 5️페이지 스타일 입히기
    • 6️날씨 API 사용하기
    • 7️날씨 데이터 조회하기
    • 8️메타데이터 다루기
    • 9️서비스 배포하기
  • 마치며
    • *️후속 강의에 대하여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서버에서 fetch
  • 데이터 캐싱(Caching)
  • 데이터 재검증(Revalidating)
  1. Next.js 기본 배우기

데이터 페칭

Previous스타일링Next메타데이터

Last updated 1 year ago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있어서 데이터 페칭은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이번에는 React와 Next.js에서 어떻게 데이터 페칭을 할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서버에서 fetch

Next.js에선 Web API에서 제공되는 fetch API의 확장된 버전을 제공합니다. 덕분에 Next.js에선 fetch로 각각의 페치 요청에 대한 캐싱(Caching)과 재검증(Revalidating) 동작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fetch를 비동기 서버 컴포넌트나 라우트 핸들러()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sync function getData() {
  const res = await fetch('https://api.example.com/...')
  // 직렬화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타입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f (!res.ok) {
    // 에러를 던지면 가장 가까이 있는 error.tsx 파일에 걸립니다.
    throw new Error('Failed to fetch data')
  }
 
  return res.json()
}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Page() {
  const data = await getData()
 
  return <main></main>
}

클라이언트에서도 서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페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Next.js에선 보안과 성능상의 이점이 많기 때문에 서버에서의 페칭을 권장합니다.

데이터 캐싱(Caching)

기본적으로 fetch에 의해 발생한 요청은 자동으로 캐싱됩니다. 여러번 요청해도 저장해둔 값을 반환해 불필요한 API 호출을 줄여주죠. 캐시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되어 빌드 타임 혹은 이후 요청에도 재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force-cache' 설정이 기본 값입니다.
fetch('https://...', { cache: 'force-cache' })

사실 Next.js에서는 여러 단계에 걸쳐 캐싱 동작이 수행됩니다. 데이터 캐시뿐 아니라 렌더링 단계에 있는 메모화(Memoization), 라우트 전체 캐시(Full Route Cache), 라우터 캐시(Router Cache)가 존재하죠.

이번 강의에서 메모화, 캐시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루긴 어렵습니다. 지금은 데이터 캐시만을 다룬다는 점을 알고 넘어가면 혼란이 적을 것 같습니다.

데이터 재검증(Revalidating)

최신의 데이터를 원한다면 재검증을 통해 캐싱된 데이터를 무효화할 수 있습니다. 캐싱된 데이터를 재검증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시간 기반 재검증(Time-based revalidtaion)

특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 자동으로 재검증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난 캐시 데이터는 신선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별될 뿐 삭제되진 않습니다. 재요청이 있을 때 신선한 데이터를 다시 불러옵니다.이는 데이터가 자주 변경되지 않고 신선도가 중요하지 않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 3600초(60분) 동안 유효한 fetch
fetch('https://...', { next: { revalidate: 3600 } })

온디맨드 재검증(On-demand revalidtaion)

수동으로 재검증할 수 있습니다. 온디맨드 재검증은 태그(tag) 혹은 경로(path)를 기반으로 특정 데이터 그룹을 일괄 재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재검증된 캐시 데이터는 삭제됩니다. 즉각적으로 최신 데이터를 확보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 데이터에 태그를 달아둡니다.
fetch('https://...', { next: { tags: ['collection'] } })

// 태그된 데이터를 재검증합니다.
revalidateTag('collection')

참고 자료

7️
Route Handlers
https://nextjs.org/docs/app/building-your-application/data-fetching
출처:
출처:
출처:
https://nextjs.org/docs/app/building-your-application/caching#overview
https://nextjs.org/docs/app/building-your-application/caching#time-based-revalidation
https://nextjs.org/docs/app/building-your-application/caching#on-demand-revalidation